[사이언스] KAIST, 팝콘 구조의 퀀텀닷 나노복합 소재 개발

순수 퀀텀닷 필름 대비 발광 강도 21배 이상, 내구성 45% 이상 향상

특허뉴스 선우정 기자 | 기사입력 2019/09/30 [12:23]

[사이언스] KAIST, 팝콘 구조의 퀀텀닷 나노복합 소재 개발

순수 퀀텀닷 필름 대비 발광 강도 21배 이상, 내구성 45% 이상 향상

특허뉴스 선우정 기자 | 입력 : 2019/09/30 [12:23]
▲ 블록공중합 고분자 및 퀀텀닷으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 소재를 나타낸다. 무작위로 뒤엉킨 미세한 공극들은 입사광 및 방출광과 고분자 매질의 극대화된 상호작용(노란색 화살표)을 유도하며, 결과적으로 높은 광흡수도, 광추출도의 증대효과를 발생시킨다.     © 특허뉴스


KAIST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전덕영 교수, 전기 및 전자공학부 장민석 교수 공동 연구팀이 팝콘처럼 내부에 공기주머니가 가득한 고분자 매질과 퀀텀닷이 융합된 새로운 발광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퀀텀닷의 광 발광(Photoluminescence) 특성이 순수 퀀텀닷 필름과 비교해 최대 21배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수년 전 국내 대기업이 퀀텀닷 LED TV를 출시하고 차세대 퀀텀닷 올레드(OLED) TV 출시를 발표하면서 퀀텀닷 소재는 디스플레이용 핵심 소재로 떠올랐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순수 퀀텀닷 필름은 광흡수도와 광추출도가 높지 못하고 인접한 퀀텀닷 간의 상호작용으로 광 효율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 연구팀은 블록공중합 고분자를 습도가 제어된 환경에서 코팅해, 고분자와 물 입자 사이를 미세하게 분리했다.

 

이후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키면서 형성되는 미세한 공극 구조에 퀀텀닷이 고르게 배열된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마치 옥수수를 가열하면 내부의 수분이 수증기로 팽창해 빠져나가면서 속이 빈 팝콘 구조가 형성되는 원리와 유사하다.

 

연구팀은 이 다공성 고분자 매질을 활용하면 빛과 고분자 매질의 상호작용이 극대화돼 퀀텀닷 복합소재의 광흡수도와 광추출도가 각각 4~5배씩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블록 공중합 고분자는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상분리 구조를 스스로 내부에 형성해 퀀텀닷 입자들을 고르게 분산시켜 줌으로써 퀀텀닷 간 상호작용에 의한 발광 강도 감소 현상도 크게 낮춰 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청색 LED 발광 소재로 적용했을 때 순수 퀀텀닷 대비 7배 이상의 발광 강도 향상 및 45% 이상의 내구도 향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해 차세대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로 적용 가능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국내 특허로 등록됐으며, 미국 등 해외 특허 심사 중이다.

 

정연식 교수는개발한 복합소재 매질은 가시광 전 파장 범위에서 발광 강도 증대 효과가 있어 퀀텀닷 이외에도 다양한 발광 소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값비싼 발광 소재를 적게 사용하고도 우수한 발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원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김건영, 김신호, 최진영 연구원이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미국 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93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KAIST,팝콘구조,퀀텀닷,나노복합소재,고분자매질,광발광,퀀텀닷필름,퀀텀닷LEDTV,올레드 관련기사목록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