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KAIST, 6만 ppi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기술 개발

기존 마이크로 LED 해상도 한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특허뉴스 염현철 기자 | 기사입력 2020/01/06 [10:15]

[사이언스] KAIST, 6만 ppi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기술 개발

기존 마이크로 LED 해상도 한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특허뉴스 염현철 기자 | 입력 : 2020/01/06 [10:15]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상현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공정 기술을 활용해 기존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6ppi(pixel per inch) 이상의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 가능 기술을 개발했다.

 

금대명 박사가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Nanoscale)’ 1228일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디스플레이의 기본 단위인 LED 중 무기물 LED는 유기물 LED보다 높은 효율, 높은 신뢰성, 고속성을 가져 마이크로 크기의 무기물 LED를 픽셀 화소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가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무기물 LED를 화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녹청(R/G/B) 픽셀을 밀집하게 배열해야 하지만, 현재 적색과 녹색, 청색을 낼 수 있는 LED의 물질이 달라 각각 제작한 LED를 디스플레이 기판에 전사해야 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에 관련한 대부분 연구가 이런 패키징 측면의 전사 기술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백만 개의 픽셀을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정렬해 세 번의 전사과정으로 화소를 형성하는 것은 전사 시 사용하는 LED 이송헤드의 크기 제한, 기계적 정확도 제한, 그리고 수율 저하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 난제들이 많아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적녹청 LED 활성층을 3차원으로 적층한 후, 반도체 패터닝 공정을 이용해 초고해상도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에 대응할 수 있는 소자 제작 방법을 제안함과 동시에 수직 적층시 문제가 될 수 있는 색의 간섭 문제, 초소형 픽셀에서의 효율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3차원 적층을 위해 기판 접합 기술을 사용했고, 색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합 면에 필터 특성을 갖는 절연막을 설계해 적색-청색 간섭 광을 97% 제거했다.

 

이러한 광학 설계를 포함한 접합 매개물을 통해 수직으로 픽셀을 결합해도 빛의 간섭 없이 순도 높은 픽셀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수직 결합 후 반도체 패터닝 기술을 이용해 6ppi 이상의 해상도 달성 가능성을 증명했다.

 

또한, 초소형 LED 픽셀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반도체 표면에서의 비 발광성 재결합 현상을 시간 분해 광발광 분석과 전산모사를 통해 체계적으로 조사해 초소형 LED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김상현 교수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초고해상도의 픽셀 제작 가능성을 최초로 입증한 연구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계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이다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초고해상도 미래 디스플레이의 기술 개발에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KAIST,초고해상도,디스플레이,6만ppi,나노스케일,LED,픽셀,적녹청,반도체패터닝, 관련기사목록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