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실리콘 태양전지에 이 물질 적층했더니... 광효율 26.7% 달성

30% 이상의 효율 갖는 태양전지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특허뉴스 염현철 기자 | 기사입력 2020/03/30 [11:28]

[사이언스] 실리콘 태양전지에 이 물질 적층했더니... 광효율 26.7% 달성

30% 이상의 효율 갖는 태양전지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특허뉴스 염현철 기자 | 입력 : 2020/03/30 [11:28]

 

▲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한 2D 패시베이션 물질의 구조적 물성 분석  © 특허뉴스

 

KAIST 신소재공학과 신병하 교수 연구팀 주도의 공동 연구팀(서울대학교 김진영 교수, 세종대학교 김동회 교수, 미국 국립재생에너지 연구소 Kai Zhu 박사, 노스웨스턴 대학 정희준 박사)이 큰 밴드갭의 페로스카이트 물질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26.7%의 광 변환 효율을 갖는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tandem) 태양전지를 구현했다.

 

기존의 단일 태양전지로는 약 30% 초반의 한계효율을 넘을 수 없다는 쇼클리-콰이저(Shockley-Queisser) 이론이 존재한다. 이에 단일 태양전지 효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2개 이상의 태양전지를 적층 형태로 연결하는 기술인 탠덤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탠덤 태양전지의 상부 셀(cell)로 적합한 큰 밴드갭의 페로브스카이트는 빛, 수분, 산소 등의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낮은 안정성 때문에 고품질의 소자를 합성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음이온을 포함한 첨가제를 도입해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내부에 형성되는 2차원 안정화 층(passivation layer)의 전기적·구조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고, 이를 통해 최고 수준의 큰 밴드 갭 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했다.

 

▲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구조와 광변환 효율 특성  © 특허뉴스

 

공동 연구팀은 더 나아가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상용화된 기술인 실리콘 태양전지에 적층해 탠덤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고, 최고 수준인 26.7%의 광 변환 효율을 달성했다.

 

연구팀의 기술은 향후 첨가제 도입법을 통한 반도체 소재의 2차원 안정화 기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한 태양전지, 발광 다이오드, 광 검출기와 같은 광전자 소자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병하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은 지난 10년간 눈부신 발전을 이뤄, 이제는 상용화를 고민해야 하는 시기이다. 실리콘 태양전지와의 이종 접합 구조를 통한 고효율 달성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연구결과는 향후 30% 이상의 초고율 탠덤 태양전지 구현에 초석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앞줄 왼쪽부터 반시계방향)신병하 교수, 김대한 박사과정, 세종대 김동회 교수, 서울대 박익재 박사, 서울대 김진영 교수  © 특허뉴스

 

이번 연구는 과거 불안정하다고 알려진 큰 밴드갭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Organic-Inoraganic Hybrid Perovskite)의 안정화 및 고효율화하는 기술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를 실리콘 태양전지와 적층해 고효율 탠덤 태양전지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향후 30% 이상의 초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병하 교수가 교신저자로, 김대한 박사과정이 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326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Efficient, stable silicon tandem cells enabled by anion-engineered wide bandgap perovskites이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태양전지,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탠덤,kaist,밴드갭, 관련기사목록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