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KAIST, 난치성 뇌전증 새로운 진단법 개발... 수술 통해 조직 채취하지 않고도 돌연변이 검출 성공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팀,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돌연변이 유전자 검출 기술 개발

특허뉴스 염현철 기자 | 기사입력 2021/05/26 [13:21]

[사이언스] KAIST, 난치성 뇌전증 새로운 진단법 개발... 수술 통해 조직 채취하지 않고도 돌연변이 검출 성공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팀,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돌연변이 유전자 검출 기술 개발

특허뉴스 염현철 기자 | 입력 : 2021/05/26 [13:21]

▲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세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발견된 병인 돌연변이  © 특허뉴스

 

 

KAIST는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 연구팀이 프랑스 파리 소르본 대학교(Sorbonne University) 뇌연구센터 스테파니 볼락(Stéphanie Baulac)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다양한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 특이적 체성 돌연변이 유전자를 뇌척수액에서 검출했다고 26일 밝혔다.

 

난치성 뇌전증은 많은 경우 발생 과정 중 뇌 신경세포에만 국소 특이적으로 생긴 체성 돌연변이(somatic mutation)에 의해 일어난다. 최근 들어 혈장과 같은 체액에 세포가 괴사해 생기는 세포 유리 DNA(circulating cell -free DNA)를 활용해 비침습적(noninvasive) 진단과 예후를 밝히려는 시도가 활발했다.

 

하지만, 뇌는 다른 장기와는 다르게 뇌혈관 장벽으로 막혀있기 때문에 병인 돌연변이를 포함한 세포 유리 DNA가 혈장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은 원인 유전자를 찾기 위해 뇌수술로 병변 부위를 도려내어 병인 돌연변이를 알아냈으며, 뇌척수액을 통해 세포 유리 DNA를 검출하려는 시도 자체가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척수액에 존재하는 미량의 세포 유리 DNA에도 병인 돌연변이가 존재할 가능성을 주목했다.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 환자 12명의 뇌척수액에서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세포 유리 DNA를 정제하고 증폭해 병변 부위에서 이미 검출한 돌연변이가 존재하는지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digital droplet PCR)로 분석 진행했다. 그 결과 3명의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평균 0.57%로 존재하는 병인 유발 돌연변이 유전자를 검출했다.

 

논문의 주저자인 김세연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은 난치성 뇌전증의 원인 유전자 검출은 수술을 통해 조직을 얻어야만 가능했는데 뇌척수액만을 채취해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고, 이 검출법이 새로운 진단법으로 쓰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악성 뇌종양이 아닌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병인 유발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음을 밝히고 나아가 수술 없이 척추 주사를 통해 최소 침습적인 방식으로 병인 돌연변이를 진단할 수 있는 틀을 마련했다. 또한, 진단뿐만 아니라 같은 방식을 통해 치료 후 환자의 예후를 지켜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KAIST 교원창업 기업(소바젠, 대표 김병태)을 통해 난치성 뇌전증의 치료제 개발과 더불어 진단법 활용을 개발할 계획이다.

 

KAIST 의과학대학원 김세연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제1 저로 참여한 이번 연구내용은 정신의학 분야 국제 학술지 신경학회보(Annals of Neurology)’에 지난달 4일 자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은 Detection of Brain Somatic Mutations in Cerebrospinal Fluid from Refractory Epilepsy Patients 이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